728x90

자바☕ 24

11. 19 내부 클래스/ static vs final vs static final

내부 클래스 클래스 내에 선언된 클래스 장점: 내부 클래스에서 외부 클래스의 멤버들을 쉽게 접근할 수 있다. 코드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(캡슐화) static vs final vs static final static = "고정된" static 변수(클래스 변수): -해당 변수에 메모리 할당을 딱 한번만 하는 메모리 절약효과 -**static 변수의 메모리 주소가 한 곳으로 고정되기 때문에, 인스턴스 변수간 값이 그 주소로 공유되기 때문에, 해당 변수(속성)의 값 고정된 주소에서 공유된다. static 메서드: 객체 생성없이 해당 클래스.static메서드를 입력하여 해당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다. *static 메서드 안에서는 인스턴스 변수로 접근이 불가능하다. (vs 인스턴스 메서드: 객체 생성: 클래스..

자바☕ 2022.11.19

오버로딩(Overloading) vs 오버라이딩(Overriding)

/* - **오버로딩(Overloading - 과적)** - 조상 클래스에서 상속받은 메서드에서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**새로운 메서드**를 정의하는 것 - **오버라이딩(Overriding - 덮어쓰기)** - 조상 클래스에서 상속받은 메서드의 내용을 **자식 클래스의 상황에 맞게 변경**해서 정의하는 것 - 같은 입금이라고 하더라도 내용물이 다르기 때문에 메서드의 내용도 달라야 합니다. **조상클래스의 기존 메서드** 의 기존 내용을 수정하는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. 주의할 점은 오버로딩된 메서드와 다르게 부모 클래스의 파라미터 설정을 그대로 따릅니다. */

자바☕ 2022.11.18

11. 16 JAVA 기초 강의: 제너릭스/ 람다/ 스트림API/ 네트워킹

1. 제너릭스 ~ Generic: 데이터의 타입을 일반화한다 다양한 타입의 객체들을 다루는 메소드나 컬렉션 클래스에 컴파일 시 타입 체크 동작은 같지만 타입이 달라지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. ->장점 1. 객체 타입을 컴파일 시 체크하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아진다 2. 반환값에 대한 타입 변환 및 타입 검사에 들어가는 노력을 줄일 수 있다. 클래스나 메소드에서 사용할 내부 테이터 타입을 컴파일 시 미리 지정하는 방법 *제너릭스를 사용하지 않으면 제너릭 클래스 안에 있는 객체를 꺼낼 때마다 형변환을 해줘야 한다. *제너릭 타입이 조상클래스와 자손클래스로 다르게 입력되어서는 안된다. ArrayList list = new ArrayList(); ArrayList list = new ArrayList(..

자바☕ 2022.11.16
728x90